일상80 방어기제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1.방어기제 방어기제(防禦機制, 영어: DEFENCE mechanism)는 받아들일 수 없는 잠재적 불안의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왜곡하면서 마음의 평정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이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한다. 불안은 자아에 닥친 위험을 알리는 신호다. 불안은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야기된다. 불안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그것을 벗어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 2022. 7. 4. 초자아 알아보는 시간 가져봅시다 1.자아 자아는 생각, 감정 등을 통해 외부와 접촉하는 행동의 주체로서의 '나 자신'을 말한다. 우리의 심신(心身)은 늘 성장하고 변화한다. 그러나 우리는 역시 같은 자신으로 생각하고 타인과 구별한다. 이 동일하다고 의식하는 자기를 자아라고 한다. 자아(에고)는 에스(이드)로부터의 요구와 초자아(슈퍼 에고)로부터의 요구를 받아들여,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무의식적 방위를 실시해, 에스(이드)로부터의 욕구를 방위·승화하거나 초자아(슈퍼 에고)의 금지나 이상과 갈등하거나 따르거나 하는, 조정적인 존재이다. 전반적으로 말하면, 자아(ego)는 에스(id)·초자아(super-ego)·외계에 골치를 썩이는 존재로서 그려지는 일도 많다. 프로이트의 정의에서는 1923년 이전까지는 의식을 .. 2022. 7. 4. 무의식 이란 무엇인가 알아봅시다 1.무의식이란 무의식 또는 비의 식은 자신과 주위 환경에 자각이 없는 상태 즉 자신이 의식하고 있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라고 하며 사고 과정, 기억, 동기 따위 없이 자동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도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크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이해된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 마음속의 의식 영역”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정신분석학적인 무의식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의심받기도 한다. 엘 불소 은 정신분석학자이지만 프로이트적인 의미에서의 무의식을 부정했고 메이르로 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2022. 7. 3. 심리학 이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1.심리학이란 인간과 동물의 심리적 과정과 행동이 둘 사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의 학문이다. 이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심리학자 불린다는 심리학자들의 목표는 정신적 기능들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 정신적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인간이 관계된 모든 분야에는 직간접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관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뒷받침이 요구되고 고도의 정보화 사회가 되어가면서 삶의 질과 관계된 문제들이 점점 더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과 기저 원리를 밝혀내는 심리학은 미래 사회에서 중요성을 점차 더해갈 것으로 보인다. 많은 학문과 마찬가지로 심리학도 철학적 논의들에서 출발했다. 여러 철학자에 의해 인간의 사고와 마음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 2022. 7. 3. 이전 1 ···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