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무의식이란
무의식 또는 비의 식은 자신과 주위 환경에 자각이 없는 상태 즉 자신이 의식하고 있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라고 하며 사고 과정, 기억, 동기 따위 없이 자동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도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크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이해된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 마음속의 의식 영역”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정신분석학적인 무의식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의심받기도 한다. 엘 불소 은 정신분석학자이지만 프로이트적인 의미에서의 무의식을 부정했고 메이르로 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무의식도 "수동적 의식"으로서 결국 의식의 연장이라 생각한다. 뇌신경과학 같은 비정 신분석학적 학문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며 이 경우 이를 '미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것 같은 별개의 영역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따위의 이론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신경과학이나 인지심리학 등에서의 비의 식(무의식)은 그러한 이론과는 달리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루어야 할 대상으로 본다. 예컨대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 사고를 통해서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의식적 자각 바깥에서 자동적, 비의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것의 주요한 예로 자동적 사고의 무의식적 작용이 언급되고 있다. 무의식은, 의식이 없는 상태와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혹 후 영역의 두 개의 주요한 의미가 있다. 의식이 없는 독:unbewusst, bewusstlos, 영:unconscious 한, 강한 의미로 대뇌의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대뇌의 기능은, 인간이 살아 있는 한, 완전하게 정지하지 않고 없다 한 어디까지 없는 것인지, 객관적인 기준이 모호하다. 인간은 시간 속에서, 매우 다수의 감각 자극이나 의미의 자극을 받아 그 대부분을 의식하고 있다. 그러나, 의식하고 있지 않다·눈치채지 못하다 감각 자극이나 의미의 자극으로, 대뇌는 감수해, 기억에 새기고 있는 것은, 더 방대한 양이 존재한다. 기억에 관한 심리학의 실험으로부터 그것을 말할 수 있다. 한편, 약한 의미로 의식이 없다는 경우는 못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서,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있으면, 처음은 책의 문장의 내용과 음악의 양쪽 모두가 의식된다. 그러나, 독서에 집중하고 있고, 문득 무엇인가로 중단되면, 음악이 갑자기 들려 온다는 일이 있다. 음악은 계속 울리고 있었지만, 독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음악의 진행에 눈치채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인간은 여러 가지 것을 의식하지만, 목전, 혹은 지금 여기의 감각적・의미적 자극의 패턴 이외로, 의식하는 것은, 광의의 기억이다. 기억의 재생은, 어느 말이나 지식 등이 재현되기도 하지만, 또 내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과거의 정경(시각적・청각적등 )이 생각나기도 한다. 방대한 기억은, 개개 뿔뿔이 흩어지게 고도의 집단과 같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연상이 기억의 상기를 촉진하는 것부터 분명한 것 같게, 감각적 혹은 의미적・감정적으로, 연관 구조나 그룹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 기억에 새겨지고 있는 한은, 어떠한 기억이어도, 재생, 상기될 가능성은 완전한 제로는 아니게 된다는 의식의 밖이라고 해도, 과학적으로는, 대뇌의 신경세포 네트워크의 어디엔가 새겨지고 있는 것이며, 의식의 밖 이란, 주관에 있어서, 현상적으로 의식이 아닌 영역에, 방대한 기억이 존재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식이 아닌 영역이, 무의식의 제2 의미가 된다. 융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이 서양의 무의식의 발견자라고 한다. 무의식의 영역을 간단한 표현으로 무의식이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은 마음 등과는 다른 개념이다. 무의식적이 다 고는 무엇인가 말하는 것은, 그 전제에, 의식이란 무엇이냐고 하는 것의 이해가 없으면 안 된다. 의식이란, 인간 일반적으로 두고, 내가 의식하고 있으면, 의식하고 있을 때, 자명 적으로 존재 이해되는 무엇이냐고 된다(데카르트의 코 키토 에르고 숨. 철학의 분야에서는 오랫동안, 의식과 자아는 동일시되었다 이처럼 의식은, 주관적으로 파악되어 왔지만, 근대에 성립한 과학이 그 연구 대상으로 하려면 규정으로서 적절하지 않고, 애매하고, 한편 정량적 파악도 곤란했다. 그 때문에 마음의 학문인 심리학에서, 마음이나 영혼, 혹은 의식은 과학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고 하고, 자극과 반응, 심리학을 쌓아 올리려고 한 행동주의 심리학 등이 출현했다. 현재에도 마음의 개념과 같이, 의식의 개념도 주관적으로 파악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그 존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심리학파도 있다. 심층심리학의 이론 대표라고도 말할 수 있는 지크문트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 분석학에선, 무의식중에 억압의 구조를 가정해, 이러한 구조에 대해, 신경증이 발병한다고 하여, 그 치료법의 이론을 전개했다. (비판: 억압하는 무의식은 실증할 수 없다). 또, 정신 분석의 이론 응용으로 개인의 양심, 사회의 도덕 기원을, 무의식의 억압 구조의 문화적인 작용으로서 설명했다. 예를 들어서 버릇이나 일견 우발적으로 보이는 실언에 대해, 본인은 후에 설명을 시도(합리화)하지만, 객관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인 거기에 개인적인 억압 구조를 볼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융의 언어연상법에도 계승하고 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부조화 심리학 개념 알아봅시다 (0) | 2022.07.05 |
---|---|
정신분석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0) | 2022.07.05 |
방어기제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0) | 2022.07.04 |
초자아 알아보는 시간 가져봅시다 (0) | 2022.07.04 |
심리학 이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0) | 2022.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