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스탠퍼드 감옥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 (영어: Stanford prison experiment, SPE) 또는 루시퍼 이펙트 또는 루치펠 효과(영어: Lucifer Effect)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필립 짐바라도 심리학 교수가 1971년에 한 심리학 실험입니다. 70명의 지원자 중 대학생인 24명이 선발되어 죄수와 교도관 역을 맡았고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 건물 지하에 있는 가짜 감옥에서 살게 되었다. 역할은 무작위로 정했다. 그들은 자기 역할에 예상보다 잘 적응했으며 교도관들은 권위적으로 행동했고 심지어는 가혹 행위를 하기까지 했다. 2명의 죄수는 초기에 너무 화가 나서 중간에 나갔으며 모든 실험은 실험 시작 후 6일 만에 갑작스럽게 종료되었다. 실험의 진행 상황과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있고, 촬영된 모든 실험장 면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그로부터 30년 후 아부 그라이브 수용소 이라크 포로 학대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이 짐바를 도의 실험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었다. 짐바를 도의 팀은 수감자와 교도관 각각의 특징과 감옥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라는 생각을 시험해보기 위해 실험을 시작했다. 고용된 참가자들은 2주간 '감옥'에서 생활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으며, 그 대가로 $15의 일당을 받도록 약속되었다. 70명의 지원자 중, 짐바를 도는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육체적 및 정신적 장애가 없으며, 과거 범죄나 약물 남용 이력이 없는 남자 24명을 선발했다. 24명은 모두 미국이나 캐나다의, 중산층 가정 출신의 좋은 교육을 받은 남자 대학생들이었다 '감옥'은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과 건물인 조던 홀의 지하실에 위치했다. 대학생인 실험 도우미들은 수감자였으며 짐바를 도는 교도소 감독관이었다. 짐바를 도는 참가자들이 그가 원했던 방향 감각 상실(disorientation), 자아감 상실(depersonalisation), 몰개성화(deindividualisation)와 같은 것을 촉진할 수 있도록 특별한 상황을 마련했다. 최초의 실험에서 24명의 선발인원 중 교도관 9명, 죄수 9명 만이 참가하였다. 나머지 인원은 혹시나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 투입되기 위해 대기하였다. 이는 조던 홀 지하에 제작된 감옥의 크기가 24명 모두를 동시에 실험하기에 협소하였기 때문이다. 교도관은 3명씩 3조로 나뉘어 하루 8시간씩 3교대 하였으며, 죄수들은 3개의 감방에 각각 3명씩 수용되었다. 실험 참가자 중 교도관 역을 맡은 사람은 무기(나무 곤봉), 셔츠 및 바지가 카키색인 가짜 교도관 옷을 받았다. 눈을 마주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선글라스도 받았다 수감자들은 그들이 끊임없이 불편하도록 크기가 맞지 않는 겉옷과 머리에는 스타킹을 씌웠다.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을 이름 대신에 옷에 박힌 그들의 고유 번호로 불렀다. 교도관을 맡은 참가자들은 실험 하루 전날 그들이 수감자들을 육체적으로 상처입힐 수 없다고 이야기하기 위해 모임을 가졌다. 2003년에 나온 The Stanford Prison Study 비디오에 의하면, 짐바를 도는 교도관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수감자들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독단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며 그 행동인즉 수감자들의 운명은 전적으로 우리와 시스템에 의해 조종되고 당신, 나, 그리고 수감자들은 어떠한 사생활도 없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없앱니다. 대개, 이러한 모든 것을 야기시키는 것은 무력함입니다. 즉 이 상황에서 우리는 모든 통제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어떠한 힘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수감자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은 수감자들처럼 행동해서 그들의 집에서 무장 강도 '혐의'로 '체포'되었다. Palo Alto 경찰서는 모든 수감자에게 하는 행위(지문 채취, 범인 식별용 사진 찍기, 미란다 원칙 설명하기 등등)를 해서 짐바라도 교수를 도왔다. 그들은 감옥에서 이송되어서 실시간으로 감시당하며, 그들의 새로운 일체성을 부여받을 가짜 감옥에 도착했다. 실험은 눈 깜짝할 새에 통제 범위를 벗어났다. 교도관들에게서 굴욕스러운 대우와 가학적인 행위를 받은 수감자들은 괴로워했으며 그 행위들은 용인되어 왔다. 스트레스가 지속해서 증가해서 결국 억제로 인한 반란을 초래했다. 실험이 끝날 때까지 심각한 감정적 혼란이 많이 일어났다. 별 탈 없이 첫날이 지나고 둘째 날에 반란이 일어났다. 교도관들은 원래보다 더 진지하게 자신들에 역할에 몰두했으며, 상관인 연구 직원들의 허가 없이 소화기로 수감자들을 공격해서 반란을 진압했다. 겨우 36시간이 흐른 후, 필립 짐바를 도가 말하기로는 한 수감자가 "미친 짓"을 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8612는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소리 지르고 저주하고 격노하는 등 "미친 짓"을 하기 시작했다. 그가 매우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에 대해 조금 시간이 걸렸고 연구원들은 그를 풀어줘야만 했다. 실험에서 빠진 #8612번이 친구들을 데려와서 남은 수감자들을 내보낸다는 소문이 돌았다. 교도관들은 감옥을 철거하고 수감자들을 안전한 다른 장소로 옮겼다. 어떠한 시도도 일어나지 않았을 때 교도관들은 감옥을 짓느라 헛수고했다는 것에 대해 화가 치솟았고 수감자들을 밖으로 내보냈다.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이 배운 방법대로 죄수 번호를 반복해서 부르라고 강요했으며 그것이 자신들을 증명하는 새로운 것이라는 것에 대한 생각을 강화했다. 교도관들은 머지않아 이 번호 세기를 수감자들을 괴롭히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이용했으며 죄수 번호를 틀린 자에게는 평소보다 더욱더 오래 기합을 주는 등의 신체적 고통을 주기도 했다. 급격히 위생 상태가 악화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이 생리적 현상을 못 하도록 만들기도 했다.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이 그들의 변기통을 비울 수 없는 벌을 주기도 했다. 한편 매트리스는 이러한 엄격한 감옥에서는 보물이었으며 교도관들은 매트리스를 뺏어서 콘크리트 위에서 재우는 등의 벌을 주기도 했다. 몇몇 수감자들은 벌거벗은 채로 다니도록 강요받기도 했으며 남색(男色)을 흉내 내는 등의 성적 모욕을 받기도 했다. 짐바를 도는 그의 실험에 점점 몰두했으며 적극적으로 이 감옥 실험에 참여했다. 4일째, 몇몇 수감자들이 탈옥에 관해 얘기를 나누었다. 짐바를 도와 교도관들은 그들을 더욱 안전한 지역 경찰서로 보내려고 했지만 짐바를 도의 실험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실험이 진행되면서 몇몇 교도관들은 폭력적으로 변했다. 실험자들은 교도관 중 3분의 1이 진짜로 잔학한(sadistic) 경향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실험이 일찍 끝났을 때 교도관들 대부분은 화를 냈다. 짐바를 도는 참가자들이 그들의 역할에 완전히 흡수되었다고 말하며 그들은 이것이 실험인데도 가석방을 위해서라면 벌금을 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그들의 가석방 신청이 전부 거부되었긴 했지만 나간 실험 참가자는 아무도 없었다. 짐바를 도는 모든 금전적 보상을 잃은 후에 그들이 실험에 참여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뿌리 깊숙이 감옥에 흡수가 되었으며 그들 자신을 수감자라고 생각했으며 그들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새로 들어온 수감자인 #416이 다른 수감자들에 대한 행태를 보고 걱정을 표했다. 교도관들은 이러한 반항에 응했다. 그가 단식 투쟁한다면서 소시지를 먹기를 거부했을 때 교도관들은 그를 방에 가두었고 이것을 독방 감금이라고 말했다. 교도관들은 다른 수감자들이 #416을 반대하기 위해 #416이 독방에서 나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감자들의 담요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말했으며 물론 모두 거절했다. 짐바를 도의 여자친구인(후에 결혼함.) 크리스티나 마실락(Christina Maslach) 이 이 실험에 초대받았을 때 감옥의 엄청난 실상을 본 후에 당장 이 실험을 그만두라고 짐바를 도에 얘기했으며 짐바를 도는 실험을 끝냈다. 짐바를 도는 이 감옥에 대해 본 50명 이상의 사람 중에 도덕에 대한 질문을 던진 것은 마실락 혼자였다고 말했다. 2주 동안 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불과 6일 만에 끝이 났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해의식 이란 무엇인가 알아봅시다 (0) | 2022.07.15 |
---|---|
빌헬름 분트 그는 누구인가 (1) | 2022.07.15 |
심리 검사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07.13 |
인지부조화 심리학 개념 알아봅시다 (0) | 2022.07.05 |
정신분석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