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구
세계 인구(世界人口)는 특정한 시간에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인류의 전체 수입니다. 2022년 11월 15일 기준 세계 인구는 약 80.0억 명입니다. 인구는 이주나 자연증가에 따라 증가합니다. 여기서 자연증가는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것입니다. 대부분 사망자 수보다 출생자 수가 많아서 이주로 발생하는 순감소가 없는 한 인구는 증가합니다.
세계인구가 어떻게 성장하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기별 인구추정이 필수적 작업인데 그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19세기 이전 세계인구의 추정은 몇 가지 단편적인 자료의 고고학적인 증거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추정은 이들 몇 가지 자료와 증거를 어떻게 평가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19세기 이전의 세계인구의 추계는 상당한 부분이 인구학적 상상력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세기에 공식적인 센서스가 유럽에서 출현하였습니다. 물론 17-18세기에도 부분적으로 유럽의 몇몇 지역에서 인구조사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1790년 미국의 제1회 인구센서스, 1801년의 영국과 프랑스의 센서스 등이 현대적인 센서스로는 초기의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유럽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20세기에 들어와서 현대적인 센서스를 실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대에 일본, 한국 등에서 센서스를 실시하였고, 1950년대부터는 세계 각지에서 실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오늘날에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센서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자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인구학자들은 세계인구에 커다란 관심을 가졌고, 따라서 세계인구를 추정하는 데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대표적인 노력으로는 카손더스(A. Carr-Saunders)와 윌콕스(Wilcox)의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최근의 추정으로는 유엔의 것이 있습니다. 유엔에서는 여러 가지 자료에대한 신중한 평가를 통하여 1920년 이후의 세계 전체 및 여러 지역의 인구를 추정하였습니다. 한편 1650-190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의 세계인구분포의 추세에 대한 추정은 윌콕스와 카손더스 자료의 재평가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윌콕스와 카손더스의 추정은 북미, 남미, 유럽, 오세아니아에서는 거의 일치하지만 기타 인구가 많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두가지 모두가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어떤 추정에 사용된 가정이 특별히 우위에 있다고 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650-1900년 기간의 세계인구와 그 분포는 이 두 가지의 평균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의 세계인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정이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유엔과 미국 상무부 센서스국의 것입니다. 여기서는 유엔의 추정에 따라 세계인구의 추세를 검토해 봅니다.
디비의 주장은 추계인구 500만 명인 B.C. 8000년까지의 인구배가 년 수가 3-4만 년이 걸렸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B.C. 8000년 이후에는 2배 인구가 되는 인구배가 년 수가 1300-1400년이 걸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왜냐하면 농업혁명 후에는 생활공간이 확대되고 이것이 인구증가를 가속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인류의 진화와 함께 도구를 쓰는 생활양식을 진화시키면서 인간은 도구와 노동의 발달과 기술을 높이고 문자와 기록을 사용하는 문명을 가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인류 최초의 문명은 큰 강(大河)유역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서양문명, 인더스문명과 황하문명이 그렇습니다. 서양문명은 오리엔트와 메소포타미아의 2개 지역이 중심이었습니다. B.C. 3000년의 세계인구 추정치가 3,500만 명이나 B.C. 2000년에는 낮게 봐도 2,700만 명, 높이 보면 7,700만 명에 달했다고 되어 있습니다. B.C. 1000년에는 1억 명, B.C. 500년에는 2억 명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문화 스페인 가고싶당 (0) | 2022.11.22 |
---|---|
레버리지 효과,레버리지비율,로렌츠곡선, (0) | 2022.11.21 |
디레버리징,디스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래퍼곡선 (1) | 2022.11.17 |
마인크래프트,마크 아무도 모르는 정보 (0) | 2022.11.15 |
독점/과점,동남아시아국가연합,동아시아 외환위기,듀레이션 (0) | 2022.11.15 |
댓글